국내 온라인광고 시장이 네이버 독주시대가 오래되어 네이버 검색광고만 등록하고 있었다면, 구글 검색광고(goole Ads)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전략적으로 네이버의 과밀 경쟁을 피하고, 광고비용을 효과적으로 배분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구글이 국내 검색광고시장에서 점유율 30%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1위 사업자인 네이버는 시장 점유율이 60% 초반대까지 밀려났고, 카카오는 3%가 채 되지 않는 입지로 위기에 직면했다. 12일 데이터 기술 전문 기업 NHN데이터가 집계한 국내 검색광고 상품별 평균 유입률을 보면, 작년 말 기준 구글애즈(Ads)는 33.5%까지 확대됐다. 유입률은 해당 검색광고를 통해 관련된 홈페이지로 방문하게 되는 비율을 말한다. 그동안 구글애즈는 검색광고 평균 유입률이 2019년 말 16.4%에서 2020년 말 20.8%, 2021년 말 25.4% 등으로 줄곧 확대돼 왔다.
출처] 매일경제 '검색광고 보폭 넓히는 구글'
구글 Ads 광고하는 방법 알려줘!
1. Google Ads 계정 만들기:
Google Ads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지금 시작"을 클릭하고 안내에 따라 로그인하거나 Google 계정을 만드세요.
광고주 계정과 개인계정을 분리해서 운영하는 것이 장기전략으로 봤을 때 유리하다. 개인계정으로 운영 할 시, 개인정보 유출이나 직원 퇴직으로 인한 운영 중단될 위험이 있다. (운영계정의 문제는 SNS 계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 캠페인 만들기
로그인 후 '+캠페인' 버튼을 클릭하세요. 목표에 따라 캠페인 유형을 선택하세요.
Google AI를 통해 광고가 최적화됩니다. Google 검색, YouTube, 디스플레이 등에서 페이지 조회을(를) 늘리세요
- 캠페인 테마에 주요 키워드 25개까지 입력
- 지역 및 언어 선택
3. 캠페인 설정 구성:
캠페인 이름을 지정하세요. 타겟팅할 지리적 위치를 선택하세요. 예산과 입찰 전략을 설정하세요. 캠페인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선택하세요.
4. 광고 소재(에셋) 만들기:
최종 URL, 이미지, 로고, 동영상 삽입
중요한 것은 구글 Ads 가이드에 따라 갯수와 최적사이즈로 업로드해야 광고그룹 품질이 좋아지고, 광고검수 통과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애셋 추가하기]
하나의 테마 또는 잠재고객과 관련된 광고 제목, 이미지, 동영상을 추가하여 애셋 그룹을 시작하세요. 실적 극대화 캠페인은 이러한 애셋을 목표에 적합한 모든 광고 형식으로 자동 조합하고 각 광고에 가장 관련성 높은 광고 소재를 표시합니다. 애셋 그룹 이름을 추가하여 애셋 그룹 테마를 확인합니다. 애셋 그룹은 캠페인을 게시하기 전에는 하나만 설정 가능하지만, 나중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광고가 최종 URL로 연결됩니다. 최종 URL 확장을 사용 설정하면 관련이 있는 경우 도메인의 추가 URL로 연결됩니다.아래의 요구사항에 따라 애셋 그룹에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확장 소재를 추가합니다.
광고 제목을 등록할 때 키워드나 주제를 기준으로 그룹화해야 설명문을 조화롭게 붙일 수 있다. 즉 키워드를 테마별로 그룹화하고, 설명 또한 그 테마에 맞춰 작성하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미지 사양
모든 이미지 확장 소재는 아래의 요구사항 외에도 다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JPG 또는 PNG 파일로 저장최대 파일 크기: 5120KB이미지의 80%가 표시될 때 콘텐츠가 중앙(기기 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잘리지 않는 안전 영역)에 있어야 함
광고소재 중 사진은 최적사이즈에 유의해야 한다. 사진크기를 조절하지 않고 업로드해서 광곳재로 사용하면 이미지가 잘리거나 충분하게 보여지지 않아 광고품질에도 영향을 주므로, 반드시 최적사이즈로 미리 재단해서 광고소재 사진으로 활용하기를 추천한다.
동영상 광고는 캠페인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며 캠페인 실적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 동영상을 하나 이상 포함한 경우 추가 동영상 인벤토리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는 10초가 넘는 동영상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합니다. 최대 5개의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가로 모드, 정사각형, 세로 동영상을 1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영상을 셋팅할 때 직접 업로드하는 방식이 아니라 유튜브에 먼저 올리고, url 검색을 통해 동영상을 불러올 수 있다. 동영상은 가로모드, 세로모드 따로 만들어서 유튜브채널에 올리고 애셋(광고)소재로 불러오는 방식이 편하다
애셋 그룹 권장사항 광고 효력 지표를 사용하여 애셋 그룹에 최상의 실적을 얻기 위해 충분한 애셋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모든 애셋 유형(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이 모든 애셋 그룹에 포함되는지 확인합니다. 애셋이 품질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다양한 확장 소재를 만들어 실적이 가장 우수한 광고 소재를 찾습니다. 확장 소재를 수정한 후 광고 효력과 애셋 그룹 상태가 업데이트될 때까지 며칠 동안 기다립니다. 2~3주 기다린 후에 실적이 저조한 확장 소재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 15개의 광고 제목, 내용 입력란 5개,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 20개, 다양한 방향의 동영상 5개 등 최대한 많은 확장 소재를 추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출처]구글ads 가이드
5. 광고 만들기: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매력적인 광고 문구를 작성하세요. 강력한 CTA(클릭 유도 문구)를 포함하세요. 광고 문구에 관련 키워드를 추가하세요.
광고소재(애셋)이 결정나면 다시 한번 이 광고를 통한 목적을 뚜렷이하고, 광고를 보는 사람들이 클릭할만한 CTA문구를 작성해야 한다. 예를어서 '지금전화' '구매하러가기' 등과 같은 행동전환이 일어나도록 충분히 유혹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광고등록 전 마지막 난관은 추적템플릿을 구성하는 일이다. 광고전문이 아닌 일반인의 입장에서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다. 혼자 끙끙되지 말고 쳇GPT에게 추적템플릿에대해 도움을 받자.
추적 템플릿이란 무엇인가요?
추적 템플릿은 URL 추적 정보를 입력하는 필드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캠페인 또는 광고그룹의 클릭을 추적하려는 경우 추적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추적 템플릿에서는 URL 매개변수를 이용해 추적 URL 또는 최종 URL을 맞춤설정합니다.
구글 ads 캠페인 등록할 때 추적탬플릿은 어떻게 적어야해?
Google Ads 캠페인을 설정할 때 각 광고 또는 광고그룹에 최종 도착 URL을 제공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면 연결되는 URL입니다. 캠페인 URL 옵션을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랜딩 페이지 URL(최종 URL)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면 연결되는 페이지의 기본 URL입니다. 예: https://www.yourwebsite.com/landing-page
2. "경로 path" 선택
필드에 최대 15자를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페이지 콘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종 URL에 추가됩니다. 예: https://www.yourwebsite.com/landing-page/path1/path2 이러한 경로 필드는 선택 사항이지만 추가 세부정보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소상공인을 의미하는 'soho', 컨설팅 'consulting'을 경로 path 지정했습니다.
path1/'soho'
path2'consulting'
3. 추적 템플릿
캠페인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기 위해 URL에 추적 매개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캠페인 A의 방문 페이지 URL로 유입되는 트래픽을 추적하려면 추적 템플릿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예시]
https://www.yourwebsite.com/landing-page/{lpurl}?source_campaign={_campaignA}
4. 완료 > 에러 확인> 제출
최종 URL: https://www.yourwebsite.com/soho-consulting 경로 1: soho 경로 2: consulting
따라서 광고에 표시되는 전체 URL은 https://www.yourwebsite.com/soho-consulting입니다. 특정 웹사이트 구조와 콘텐츠에 맞게 예제를 조정하세요.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URL을 사용하면 Google Ads 광고의 전반적인 효과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6. 입찰가 및 예산 설정:
입찰 전략(수동 또는 자동)을 선택하세요. 최대 CPA(클릭당 전환 비용) 입찰가를 설정하세요. 광고 목표에 따라 일일예산을 조정하세요
광고비용 종류
CTR(Click through ratio)는 광고 클릭률로, 웹페이지에서 광고를 얼마나 클릭했느냐를 의미합니다.
CPM(Cost per mile)은 1,000view 당 지불해야할 비용입니다.
CPC(Cost per click)은 노출된 광고를 클릭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뜻합니다.
CPA(Cost per action)은 광고 노출이나 클릭이 목표가 아니라 어떠한 행동(회원가입, 설문작성 등)을 했을 때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CPC, CPA 중 결정한다. 이번 광고 캠페인의 목적이 홈페이지 클릭의 증가가 아니라 전환에 목적이 있으므로 CPA로 과금방식을 정하였다. 금랙은 하루예산을 셋팅해야 하는데, 기존 광고그룹의 에산을 참조하거나 광고결과를 보면서 업그레이드해나가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여기까지가 구글 Ads 등록과정이고 승인은 일반적으로 2~3일 소요된다. 결과는 이메일 또는 등록된 연락번호로 알람이 온다. 이후로 구글 Ads관리사이트를 통해 관리하면 된다
AI활용 온라인 광고 등록 2. 네이버 검색광고(파워링크) (8) | 2024.01.31 |
---|---|
AI 활용 온라인 광고 등록 1. 네이버 플레이스 등록 (4) | 2024.01.30 |
온라인 광고 2. AI활용해서 브랜드 슬로건 제작 (2) | 2024.01.30 |
온라인 광고 1. AI활용해서 로고 제작 (4) | 2024.01.30 |
AI 활용한 고객 타켓팅과 이메일 마케팅 (1) | 2024.01.28 |